하늘은 맑건만
이번 시리즈는 가장 어려웠던 시대에 씌어진 희망의 이야기들을 수록해 청소년들에게 나라 잃은 설움과 가난을 딛고 꿈을 키워주었던 33편의 작품을 두 권으로 나누어 수록한 것이다. 국문과 교수이자 청소년을 위한 책들을 집필해온 엮은이 최시한은 한국 근대 청소년소설 형성을 연구한 숙명여대 국문학 연구자 최배은과 함께 시리즈에 수록된 작품의 절반가량을 새로 발굴해 담았다.
이태준, 이효석, 김유정, 박태원, 김동리 등 대표적인 청소년소설 작가들의 작품 중 당시 사회와 청소년들의 삶을 잘 그려낸 작품을 우선 뽑고, 그 작품이 처음 발표된 지면을 일일이 찾아 현재의 어법에 맞게 고치고 낱말 뜻풀이를 달아 이해를 돕고 있다. 〈제2권 완결편〉
〈font color="ff69b4"〉▶ 〈/font〉 2권 작품 자세히 들여다보기!
제2권은 1930년대를 대표하는 청소년소설 18편이 수록되어 있다. 1920년대 작품에 비해 여러 가지 차이점을 지니고 있는데, 특히 서술자가 무리하게 개입하는 서술이 많이 줄고, 인물의 심리와 행동을 객관적으로 묘사하여 실감나게 보여주고 있다. 한편, 〈청어뼉다귀〉, 〈영길이〉, 〈나비를 잡는 아버지〉 등 1930년대 작품들은 궁핍한 사회주의적 관점에서 그린 소설이 많다. 〈백삼포 여공〉, 〈상호의 꿈〉 등은 노동하는 청소년의 현실과 고통을, 〈날아다니는 사람〉에서는 어려운 환경에서도 꿈을 찾고 키워나가는 청소년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이 책의 시리즈 (2)
이 책의 총서 (28)
작가정보
<b>작가 소개</b>
12. 이주홍(李周洪)(1906~1987)
동시작가, 소설가. 호는 향파(向破). 경남 합천 출생. 보통학교 졸업 후 한학을 공부했으며, 일본으로 건너가 토목, 제탄, 식료, 제과 공장 등에서 일하기도 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주로 카프 계열의 아동 ? 청소년잡지 『신소년』의 편집에 관여하며 「눈물의 치맛감」 「돼지 콧구멍」 「청어 뼉다귀」 「군밤」 등의 청소년소설을 발표했다. 해방 후, 중?고교 교사를 거쳐 부산 수산대학 교수로 재직했다. 1966년 『문학시대』를 주재하고, 부산 아동문학회를 조직하는 등 다방면에서 꾸준히 활동하였다. 『아름다운 고향』, 『피리 부는 소년』 『못나도 울 엄마』 등의 청소년소설과 『조춘』 『해변』 『어머니』 등의 소설을 썼으며, 시집 『풍경』을 펴냈다.
13. 민봉호(閔鳳鎬)
이력을 알 수 없다. 1930년대에 체험 수기 형식으로 『어린이』에 「영화의 넋두리」 「순이의 설움」 「박군의 편지」 「눈물의 신세」 등을 발표하고, 조선일보에 「우리의 설움」 「병사」를 발표하였다.
14. 김도인(金道仁)
『별나라』편집 동인으로 활동했으며, 『어린이』에 청소년소설 「진수와 그 형님」을 발표했다.
15. 현동염(玄東炎)
이력을 알 수 없다. 1930년대 『신소년』과『별나라』에 「백삼포 여공」 「꿈 깨인 사냥개」 등의 청소년소설을 발표하였다.
16. 강노향(姜鷺鄕)
이력을 알 수 없다. 1930년대 청소년잡지에 청소년소설을 여러 편 발표했다. 『신소년』에 「산에 가는 사나희」 「여명」 「농촌의 황혼」 「도조를 바치는 날」을, 『어린이』에 「영길이」 『별나라』에 「어떤 나무군 소년」을 발표했다.
17. 김우철(金友哲)(1915~?)
평론가. 평안북도 의주 출생. 1929년 신의주고보를 중퇴하고, 아동 ? 청소년잡지 『별나라』 『신소년』등에 관여하며, 계급주의적 관점에서 아동문학에 대한 평론 및 청소년소설을 발표했다. 대표작으로 「아동문학에 관하야」, 「동화와 아동문학-동화의 지위 및 역할」 「농민문학에 대한 과거의 오류」 등의 평론과 「등피알사건」 「상호의 꿈」 「오월의 태양」 「공장이 파한 뒤」 「야학의 연필사건」 등의 청소년소설이 있다.
18. 강경애(姜敬愛)(1907~1943)
소설가. 황해도 송화 출생. 어린 시절 의붓아버지 밑에서 자라며 심리적, 경제적 곤란을 겪었다. 평양 숭의여학교에 입학하였으나 동맹휴학에 가담하여 퇴학당한 뒤 상경, 동덕여학교 3학년에 편입하여 공부했다. 이후 야학운동과 신간회 활동 등 사회운동에 투신하다가 1931년 간도 여행에서 돌아와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대표작으로 「파금」 「어머니와 딸」 「소금」 「원고료 이백 원」 『인간문제』 등의 소설이 있다. 「월사금」과 같은 청소년소설도 썼다.
19. 박태원(朴泰遠)(1910~1986)
소설가. 호는 구보(仇甫). 서울 출생. 일본 호세이(法政) 대학 예과에 입학하였으나 중퇴하였다. 1933년 구인회에 가입하면서 작가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했으며, 『동아일보』와 『소년』에 「영수증」 「소년탐정단」 등의 청소년소설을 발표하기도 했다. 한국전쟁 중에 월북하여 북한에서 최고의 역사소설로 손꼽히는 『갑오농민전쟁』을 집필하였다. 대표작으로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천변풍경』 등이 있다.
20. 안운파(安雲波)
자세한 이력을 알 수 없다. 본명은 안준식, 호는 평원(平原). 『신소년』과 『별나라』에 「물대기」 「호떡선생」 「임간학교」 등의 청소년소설을 발표했다.
21. 백신애(白信愛)(1906~1939)
소설가. 경북 영천 출생. 조선여성동우회 여자청년동맹 등에 가입, 활동하였고, 1928년 시베리아를 여행한 뒤, 그 체험을 소설 「꺼래이」로 작품화했다. 1929년 도쿄에 건너가 공부하다 1932년에 귀국, 가난한 농민들의 세계를 그린 「복선이」 「적빈」 「빈곤」 등의 작품을 발표하였다. 『소년중앙』에 「멀리 간 동무」와 같은 청소년소설을 발표했다.
22. 이구조(李龜祚)(1911~1942)
동화 작가, 청소년소설가. 평남 강동 출생.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대표작으로 「청개구리 나라」 「과자벌레」 등의 동화, 「조행 ‘갑’」 「체조시간」 등의 청소년소설, 「동화의 기초공사」 「사실동화와 교육동화」 등의 아동문학 평론이 있다.
23. 노양근(盧良根)(1900~?)
동화 작가, 청소년소설가. 호는 양아(洋兒). 김천 출생. 1937년경 원산 구세병원에 근무한 것으로 추정되며, 해방 후 북한에 잔류한 것으로 보인다. 삶의 자취에 대한 자세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1930년대에 동화와 소년소설을 활발히 창작하였으며, 『어린이』에 청소년소설에 대한 평론도 발표하였다. 대표작으로 「광명을 찾아서」 「날아다니는 사람」 「열 두 고개」, 『열세 동무』, 「임자 없는 책상」 등이 있다.
24. 김유정(金裕貞)(1908~1937)
소설가. 서울 출생.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거쳐 보성전문학교에 다니다 중퇴했다. 1933년에 소설 「산골나그네」와 「총각과 맹꽁이」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하여, 폐병으로 사망하기까지 4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30여 편의 소설과 10여 편의 수필을 발표하였다. 주로 농촌을 배경으로 궁핍한 현실을 해학적으로 그려냈다. 대표작으로 「소낙비」 「금따는 콩밭」 「만무방」 「봄봄」 「땡볕」 등이 있으며, 「동백꽃」 「이런 음악회」 등의 청소년소설도 썼다.
25. 이효석(李孝石)(1907~1942)
소설가. 호는 가산(可山), 강원도 봉평 출생. 경성제국대학 영문과를 졸업하고 평양숭실전문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작품 활동을 펼쳤다. 초기엔 동반자 작가로 활동하며 카프 계열의 작품을 창작하다가, 1933년 순수문학을 표방한 구인회에 참여하면서 애욕의 세계로 전환한다. 대표작으로 「분녀」 「산」 「메밀꽃 필 무렵」 「화분」 등이 있다. 「돈」 「고사리」 등의 청소년소설을 썼다.
26. 현덕(玄德)(1912~?)
소설가. 본명은 경윤(敬允). 서울 출생. 1925년 제일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으나 중퇴하였다. 「달에서 떨어진 토끼」 「고무신」 등의 동화와 소설 「남생이」를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하였다. 1930년대 말에 동화, 청소년소설, 소설 등 여러 갈래의 작품을 발표하여 주목받았다. 해방 후 조선문학가동맹에 참가하였고, 1950년 월북하였다. 대표작으로 「남생이」 「경칩」 「두꺼비가 먹은 돈」 등의 소설과 청소년소설 『집을 나간 소년』, 동화 『포도와 구슬』 『토끼삼형제』 등이 있다.
27. 김동리(金東里)(1913~1995)
소설가, 시인, 평론가. 본명은 시종(始鍾). 경북 경주 출생. 1935년 「화랑의 후예」와 「산화」로 등단하여 「바위」 「무녀도」 「황토기」 등의 문제작들을 발표하였다. 해방 직후, 우파 진영을 대표하는 평론가로 활동하였으며, 대표작인 「역마」 「등신불」 「늪」 「까치소리」, 『사반의 십자가』 『을화』 등을 발표하였다. 1949년 『소학생』과 『소학생 문예독본(6학년)』에 동화 「고양이」와 「실근이와 순근이」를 발표하였으며, 1979년 동화와 청소년소설이 수록된 『꿈 같은 여름 - 김동리 소년소녀소설집』을 발간했다.
<b>엮은이 소개</b>
최시한
충남 보령에서 태어났다.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과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소설연구서 『가정소설 연구』『현대소설의 이야기학』『소설의 해석과 교육』 등과 소설집 『낙타의 겨울』 『모두 아름다운 아이들』이 있다.
최배은
배움터 글쓰기 교실 강사로 어린이 글쓰기 지도를 시작했으며, 인문교육 연구공동체 ‘토박이’를 설립하여 어린이와 청소년의 글쓰기 · 독서 및 생태 · 역사 · 문학 체험 학습 활동을 지도하고 있다. 「한국 근대 청소년소설의 형성 연구」로 숙명여대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같은 과 대학원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그림 : 김창희
전남 신안의 작은 섬에서 태어났다.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교를 수료하였고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에서 일러스트레이션을 전공하였다. 현재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저자(글) 최배은
목차
- 청어 뼉다귀 / 이주홍
박군의 편지 / 민봉호
진수와 그 형님 / 김도인
백삼포 여공 / 현동염
영길이 / 강노향
상호의 꿈 / 김우철
월사금 / 강경애
영수증 / 박태원
아버지와 딸 / 안운파
멀리 간 동무 / 백신애
조행 '갑' / 이구조
날아다니는 사람 / 노양근
이런 음악회 / 김유정
고사리 / 이효석
하늘은 맑건만 / 현덕
고구마 / 현덕
나비를 잡는 아버지 / 현덕
소년 / 김동리
해설_궁핍한 환경에서 자란 청소년소설
작가 소개
기본정보
ISBN | 9788932018133 | ||
---|---|---|---|
발행(출시)일자 | 2007년 09월 17일 | ||
쪽수 | 284쪽 | ||
크기 |
146 * 210
mm
|
||
총권수 | 1권 | ||
시리즈명 |
문지 푸른 문학
|
Klover 리뷰 (2)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
반품/교환방법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반품/교환 불가 사유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분 좋은 발견
이 분야의 베스트
이 분야의 신간
-
나의 먼 이름에게10% 9,900 원
-
그 여름의 망고10% 11,700 원
-
이별 박물관10% 9,900 원
-
망한 공원에서 만나10% 12,600 원
-
토마토로 만들어 줘10% 9,9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