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탄소중립과 넷제로(Net-Zero)를 향한 글로벌 CCUS 기술개발 동향과 사업화 전략

이슈퀘스트 · 2021년 11월 09일
0.0 (0개의 리뷰)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 탄소중립과 넷제로(Net-Zero)를 향한 글로벌 CCUS 기술개발 동향과 사업화 전략 대표 이미지
    탄소중립과 넷제로(Net-Zero)를 향한 글로벌 CCUS 기술개발 동향과 사업화 전략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탄소중립과 넷제로(Net-Zero)를 향한 글로벌 CCUS 기술개발 동향과 사업화 전략 사이즈 비교 210x297
    단위 : mm
무료배송 소득공제
10% 360,000 400,000
적립/혜택
20,000P

기본적립

5% 적립 20,00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20,00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만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교보Only(교보배송)을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주문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서울시 종로구 종로 1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최근 국내에서도 ‘CCUS 추진현황 및 계획’을 발표하고, CCUS를 新산업으로 육성하여 초기 단계에 있는 전 세계 기후위기대응 新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다부처 사업 등을 통해 지원을 본격화하고 있다.

환경부는 탄소중립을 위해 화석연료 발전 중심의 전력공급 체계를 재생에너지와 수소 중심으로 전환하고 CCUS 기술을 적극 활용해 전력부문의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산업부는 CCUS 확산의 컨트롤타워이자 신산업화 역할을 할 민관합동 K-CCUS추진단을 2021년 발족한 바 있으며, 이에 국내 주요 기업들은 CCUS 각 분야에서 기존 사업모델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찾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당사에서는 국내와 해외 주요국의 기후변화와 온실가스 대응 동향과 전략을 조사하고, 탄소중립 정책 수립과 이행계획을 정리하였으며, 탄소자원화 기술과 특히 CCUS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과 설비투자 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 분석하여 본서를 발간하게 되었다. 모쪼록 CCUS 관련산업에 관심을 갖고 계신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목차

  • Ⅰ. 기후변화대응, 탄소중립과 탄소자원화 실태와 전망 27

    1. 국내외 기후변화와 온실가스 대응전략 27
    1-1. 국내외 기후변화 현황 27
    1) 전 지구 이상기후 발생 주요 원인 27
    (1) 지구온난화 27
    (2) 엘니뇨 종료 이후 중립상태 지속 28
    (3) 북극 해빙면적의 지속적인 감소 29
    (4) 유라시아 대륙의 많은 눈덮임 29
    2) 주요국 이상기후 발생과 피해 현황 31
    (1) 유럽 31
    (2) 아시아/호주 32
    (3) 북미/남미 33
    3) 국내 이상기후 발생 현황 35
    (1) 국내 이상기후 현상 35
    (2) 국내 이상기후 발생 현황 35
    (3) 국내 기후변화 전망 37
    1-2. 기후변화 대응 필요성 38
    1) 기후변화 대응 필요성 38
    (1) 기후 ‘변화’를 넘어 ‘위기’의 시대로 진입 38
    (2) 기후변화 대응의 편익 38
    2) IPCC 1.5℃ 특별보고서 39
    (1) IPCC 1.5℃ 특별보고서 채택 39
    (2) 1.5℃ 목표 달성을 위한 조건 39
    1-3. 국내외 온실가스 배출 및 감축 목표 41
    1) 국내 온실가스 배출 현황 41
    (1) 국내 온실가스 배출 41
    (2) 온실가스 배출 수준 43
    2) 2030년 국내 온실가스 감축 목표 44
    (1)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수립 배경 44
    (2) 국내 온실가스 감축 여건 44
    (3)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45
    (4)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상향안 제시 46
    3) 국내 온실가스 감축 정책 49
    (1) 제도 및 법률 49
    (2) 온실가스 감축 정책 52
    4) 세계 온실가스 배출 및 감축 목표 56
    (1) 세계 온실가스 배출 현황 56
    (2) 세계 온실가스 감축 목표 57

    2. 탄소중립과 넷제로(net-zero) 글로벌 트랜드 60
    2-1. 탄소중립 개요와 동향 60
    1) 탄소중립, 기후중립, 넷제로(net-zero) 개념 60
    2) 국가별 넷제로 목표와 사례 61
    (1) 독일의 넷제로 시나리오 62
    (2) 프랑스의 넷제로 시나리오 63
    3) 넷제로(net-zero) 목표 달성 방법 64
    2-2. 탄소중립 글로벌 트랜드와 시장 전망 66
    1) 세계 137개국 탄소중립 선언 66
    (1) EU 67
    (2) 미국 69
    (3) 중국 70
    (4) 일본 71
    2) 온실가스 관련 규제 마련 73
    (1) 탄소가격제(Carbon Pricing) 73
    (2) 석탄발전 퇴출 확대 75
    (3) 수송부문의 탈탄소화 76
    3) 산업구조 변화 전망 77
    (1) 기업들의 탄소중립 선언 77
    (2) RE100 참여 기업 확대 78
    (3) 완성차 기업의 탄소중립 달성 전략 79
    4) 시장 전망 80
    (1) 세계 시장 전망 80
    (2) 국내 시장 전망 82
    2-3. IEA 2050 Net Zero를 위한 에너지 섹터 로드맵 84
    1) IEA 2050 Net Zero 로드맵 개요 84
    2) 2050 Net Zero 달성을 위한 기간별 로드맵 84
    3) 전력분야 세부 경로(2040년 Net Zero) 86

    3. 탄소자원화 기술 및 주요국 대응 동향 88
    3-1. 탄소자원화 기술 및 활용 88
    1) 탄소자원화 기술의 대두 배경 88
    (1) 대두 배경 88
    (2) 미래 자원으로 가능성 89
    2) 탄소자원화 기술과 활용분야 91
    (1) 탄소자원화 기술 91
    (2) 탄소자원화 활용분야 91
    3) 탄소자원화 4대 기술 93
    (1) C1 가스 리파이너리 93
    (2) 인공광합성 94
    (3) 바이오리파이너리 95
    (4) CCU(이산화탄소 포집 및 전환) 97
    4) CO2 이용 기술 99
    (1) 오일회수증진(EOR) 99
    (2) 화학원료 합성 100
    (3) 바이오연료 생산 101
    (4) 광물의 탄산화 101
    3-2. 탄소자원화 주요국 대응 동향 102
    1) 미국 102
    2) 유럽 102
    3) 중국 103
    4) 한국 104

    4. 국내외 탄소중립 정책과 대응방향 105
    4-1. 해외 주요국 탄소중립 정책 동향과 추진전략 105
    1) 개요 105
    (1) 국가간 탄소중립 선언 주도권 경쟁 105
    (2) 탄소중립 시대의 새로운 기업환경, ‘ESG’ 107
    (3) 탄소중립 운동, ‘RE100(Renewable Energy 100)’ 109
    2) 주요국 탄소중립 정책과 그린뉴딜 전략 110
    (1) 유럽연합(EU) 110
    (2) 미국 113
    (3) 독일 114
    (4) 중국 119
    (5) 일본 122
    4-2. 국내 탄소중립 정책 동향과 추진전략 125
    1)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案) 125
    (1) 우리의 여건 진단 및 평가 125
    (2)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추진전략 127
    (3) 3대 정책방향 및 10대 과제 129
    (4) 탄소중립 제도적 기반 강화 138
    (5) 추진체계 및 향후계획 143
    2) 「2050 탄소중립」 부문별 비전 및 전략 148
    (1) 에너지 공급 148
    (2) 산업 156
    (3) 수송 166
    (4) 건물 173
    (5) 폐기물 180
    (6) 농축수산(농업·축산·수산) 184
    (7) 탄소 흡수원 188
    3) 탄소중립 기술혁신 추진전략 193
    (1) 개요 193
    (2) 핵심기술 개발과 생태계조성 5대 전략 193
    4) 탄소중립 기술혁신 추진전략 - 10대 핵심기술 개발방향 197
    (1) 태양광·풍력 199
    (2) 수소 205
    (3) 바이오에너지 208
    (4) 철강·시멘트 211
    (5) 석유화학 214
    (6) 산업공정 고도화 217
    (7) 수송효율 220
    (8) 건물효율 223
    (9) 디지털화 226
    (10) CCUS 229

    Ⅱ. 국내외 CCUS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235

    1. 탄소(CO2) 감축기술 235
    1-1. 온실가스와 탄소 감축기술 개요 235
    1) 온실가스와 탄소 감축기술 개념 235
    2) 온실가스와 탄소 감축기술 분류 235
    1-2. 온실가스와 탄소 감축 관련 주요 핵심 기술 237
    1) CCUS 기술 237
    (1) 기술 정의 237
    (2) 기술 분류 237
    2) 신재생에너지 기술 238
    (1) 정의 238
    (2) 범위 238
    3) PtX(Power-to-x) 기술 239
    (1) 개념 및 기술동향 239
    (2)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240
    (3) 수소 생산 및 저장 기술 241
    (4) Solar Heat Storage 242

    2. CCUS 관련 기술, 시장 동향 및 전망 244
    2-1. CCUS 기술 개요 및 프로젝트 동향 244
    1)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기술 개요 244
    (1) CCUS 정의 244
    (2) CCUS의 역사 247
    (3) CCUS 범위 248
    (4) CCUS 효용 및 필연성? 251
    2) 글로벌 CCUS 투자현황 및 탄소 감축 기여 전망 253
    (1) CCUS 개발과 설비 투자 현황 253
    (2) CCUS R&D 투자 동향 256
    (3) CCUS의 탄소 감축 기여 전망 257
    (4) CCUS 도입 전망 259
    3) CCUS 도입 현황 및 전력 시스템에서의 역할 261
    (1) 발전부문 CCUS 기술도입 동향 261
    (2) 전력 시스템에서 CCUS의 역할 262
    (3) 발전부문 CCUS 확대여건 및 정책방향 264
    4) 글로벌 CCUS 시설 및 설비 동향 266
    (1) 글로벌 CCUS 시설 동향 266
    (2) 글로벌 CCUS 설비 규모 및 전망 269
    2-2. 글로벌 CCUS 시장 전망과 주요기업 동향 271
    1) CCUS 시장 전망 271
    (1) CCUS 시장 전망 271
    (2) CCUS 제품 및 제품군별 시장 전망 274
    2) CCUS 관련 주요 해외기업 동향 285
    (1) 해외 CCUS 주요 키플레이어 현황 285
    (2) 해외 기업 동향 286
    3) CCUS 관련 주요 국내기업 동향 294
    (1) SK E&S 294
    (2) SK이노베이션, SK에너지 295
    (3) 포스코 296
    (4) 두산중공업 298
    (5) 현대중공업 299
    (6) 삼성엔지니어링 300
    (7) 롯데케미칼 301
    (8) 현대오일뱅크 303
    (9) S-OIL 304
    (10) 한국전력공사 306
    (11) 발전 5사(중부·남부·동서·남동·서부발전) 307
    (12) 한국석유공사 311
    (13) 한국지역난방공사 313
    (14) 기타 314
    2-3. CCUS 분야별 기술 개발 동향 316
    1) CCUS 가치사슬별 기술개발 이슈 316
    (1) 포집 316
    (2) 저장 317
    (3) 이용 318
    2) 이산화탄소(CO2) 포집 기술 320
    (1) 습식 포집 기술 322
    (2) 건식 포집 기술 323
    (3) 분리막 포집 기술 325
    (4) 공기중 포집 기술 327
    3) 이산화탄소(CO2) 저장 기술 329
    (1) CO2 저장 기술 개요 329
    (2) CO2 저장 기술 종류 331
    4) 이산화탄소(CO2) 전환 기술 342
    (1) 촉매 전환 기술 342
    (2) 전기화학 전환 기술 346
    (3) 광전기화학 전환 기술 348
    (4) 광화학 전환 기술 352
    (5) 생물학적 전환 기술 355

    3. 국내외 CCUS 관련 정책 및 산업 동향 361
    3-1. 국내 CCUS 정책 동향 361
    1) 녹색성장 5개년 계획 361
    (1) 개요 및 추진 배경 361
    (2) 제1차 녹색성장 5개년 계획 361
    (3) 제2차 녹색성장 5개년 계획 362
    (4) 제3차 녹색성장 5개년 계획 363
    2) 기후변화대응 기본 계획 365
    (1) 개요 및 추진 배경 365
    (2) 제1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 365
    (3) 제2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 366
    3)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 2021년도 시행계획(안) 368
    (1) 개요 368
    (2) ’20년 추진현황 및 주요성과 370
    (3) ’21년도 추진계획 371
    (4) 사업별 ’21년 추진계획 중 CCUS 분야 375
    (5) 향후 일정 389
    4)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391
    (1) 개요 및 추진 배경 391
    (2) 국가 온실가스 감축 기본 로드맵 391
    (3)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안) 392
    (4)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상향안 제시 393
    5) 「다부처 대규모 CCS통합실증 및 CCU 상용화 기반구축」2021년도 시행계획(안) 395
    (1) 추진 배경 및 필요성 395
    (2) 사업개요(2021-2023) 396
    (3) 2021년 투자 및 주요 추진계획 398
    6) K-CCUS 추진단 발족과 주요사업 399
    (1) 추진 배경 및 필요성 399
    (2) K-CCUS 역할 401
    (3) K-CCUS 추진단 구성 현황 402
    (4) K-CCUS 추진단 사무국 개소 404
    3-2. 주요 국가별 CCUS 산업, 정책 및 프로젝트 동향 405
    1) 미국 405
    (1) 산업 동향 405
    (2) 정책 동향 405
    (3) 기술 동향 408
    (4) 미국 CCUS 프로젝트 409
    2) 캐나다 410
    (1) 산업 동향 410
    (2) 정책 동향 411
    (3) 캐나다?CCUS 프로젝트 412
    3) 유럽 414
    (1) 산업 동향 414
    (2) 정책 동향 417
    (3) 기술시장 동향 417
    4) 영국 419
    (1) 산업 및 정책 동향 419
    (2) 영국 CCUS 프로젝트 419
    5) 네덜란드 421
    (1) 산업 및 정책 동향 421
    (2) 네덜란드 CCS 프로젝트 422
    6) 중국 426
    (1) 산업 동향 426
    (2) 정책 동향 428
    (3) 중국 CCUS 프로젝트 430
    7) 일본 435
    (1) 산업 동향 435
    (2) 정책 동향 435
    (3) 일본 CCUS 프로젝트 436
    8) 호주 439
    (1) 산업 동향 439
    (2) 정책 동향 439
    (3) 호주 CCUS 프로젝트 442

    Ⅲ. CCUS 관련 기술개발 동향과 연구과제 447

    1. CCUS 관련 전략기술개발 로드맵 447
    1-1. 탄소자원화 국가전략프로젝트 실증 로드맵 447
    1) 추진 개요 447
    2) 실증 로드맵 주요 내용 448
    (1) 탄소전환 플래그십 실증 448
    (2) 탄소광물 플래그십 실증 449
    (3) 탄소자원화 전략 플랫폼 구축 450
    3) 탄소자원화 실증 과제 도출 개요 452
    4) 탄소자원화 국가전략프로젝트 실증 로드맵(안) 453
    5) 탄소자원화 국가전략프로젝트 실증 세부 이행 로드맵 454
    1-2.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혁신 로드맵(안) 455
    1) 추진 개요 455
    (1) 추진 배경 455
    (2) 추진 경과 457
    2) CCU 기술개발 동향 459
    (1) CO2 포집 459
    (2) CO2 화학전환 460
    (3) CO2 생물전환 461
    (4) CO2 광물탄산화 461
    (5) 기타탄소 활용 462
    3) 비전 및 추진전략 464
    4) 세부 추진전략 464
    (1) 핵심기술 확보 전략 464
    (2) R&D 투자 촉진 484
    (3) 제도적 기반 마련 487
    (4) 실효적인 이행체계 구축 489
    5) 향후 계획 491
    1-3. 탄소중립 기술혁신 추진전략 10대 핵심기술(CCUS 중분류별) 추진전략 492
    1) 저비용 CO2 포집 기술 493
    (1) 연소 배가스 포집 기술 494
    (2) 산업분야 공정가스 및 합성가스 포집 기술 495
    (3) 바이오가스 및 매립지가스 포집 기술 496
    (4) 연료 연소 중 원천분리 기술 497
    (5) 차세대 포집 기술 498
    2) 안전하고 효율적인 CO2 저장기술 499
    (1) 수송 기술 500
    (2) 탐사 기술 501
    (3) 주입 기술 502
    (4) 모니터링 기술 503
    3) 신산업 창출 CO2 활용기술 504
    (1) 연료전환 기술 505
    (2) 화학제품 전환 기술 506
    (3) 건축소재 광물화 기술 507
    (4) 차세대 탄소소재화 기술 508

    2. CCUS 관련 주요 특허 동향과 유망기술개발 연구과제 509
    2-1. CCUS 관련 기술분야별 주요 특허 동향 509
    1) CCUS 관련 특허출원 동향 509
    (1) 개요 509
    (2) 주요국 특허 동향 509
    (3) 주요 출원인 동향 513
    (4) 기술별 특허 동향 515
    2) 이산화탄소의 재활용 기술 특허 동향 518
    (1) 개요 518
    (2) 세부 분야별 특허 동향 518
    (3) 주요 출원인 동향 519
    (4)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의 전환 기술의 개요 및 세부내용 520
    2-2. CCUS 관련 기술개발 연구과제 522
    1) 대규모 CCS 통합실증 및 CCU 상용화 기반구축 사업 총괄 관리 522
    2) 대심도 해양 탐사시추를 통한 대규모 CO2 지중저장소 확보 524
    3)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중규모 CCS 통합실증 모델 개발 526
    4) 대규모 포집기술/포집원 평가 및 150MW급 포집플랜트 FEED 설계안 개발 528
    5) 탈황석고를 활용한 광물탄산화 기술 실증 및 온실가스 감축방법론 개발 530
    6) CCUS 법률안 정비 및 수용성을 포함한 제도적 기반 구축 532
    7) 철강 고로가스내 CO2 포집기술 격상 실증(80톤-CO2/일 급) 534
    8) 코크스오븐활용 CO2 취입·전환 기술 실증(CO2 투입량 80톤/일 급) 535
    9) 시멘트 산업 발생 CO2 활용 in-situ 탄산화 기술 개발 538
    10) 시멘트 산업 배출 CO2 활용 저탄소 연료화 기술개발 540
    11) 석유화학산업 NCC 배가스 대상 CO2 포집 파일럿 플랜트 실증 및 중립탄소활용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 생산기술 개발 542
    12) LNG 발전 연소배가스 대상 CO2 포집 기술 개발 544
    13) 도심형 LNG 연소배가스 대상 CO2 포집 기술개발 546
    14) CO2 지중저장 안전성 확보 기술개발 548
    15) CO2 저장효율 향상 기술 개발 550
    16)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CO2 포집 연계형 저탄소 건물용 개질기 기술 개발 552
    17) 1MW급 가스 연소시스템의 연소중 CO2 포집기술 파일럿 실증 555
    18) 포집 CO2 활용 고부가 케미컬 제조 실증기술 개발 557
    19) 블루 수소 제조를 위한 분리막 기반 컴팩트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 실증 기술개발 559

    표 목차
    Ⅰ. 기후변화대응, 탄소중립과 탄소자원화 실태와 전망 27

    〈표1-1〉 전지구 온도상승 1.5℃ vs 2℃ 주요 영향 비교 40
    〈표1-2〉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및 증감률 42
    〈표1-3〉 국가 온실가스 원단위 변화 추이 43
    〈표1-4〉 수출의존도 및 제조업 비중 45
    〈표1-5〉 NDC 상향안 48
    〈표1-6〉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정책의 기본 원칙 49
    〈표1-7〉 제3차 계획기간(2021∼2025년) 주요 운영 방향 51
    〈표1-8〉 목표관리제 대상 선정 기준 51
    〈표1-9〉 에너지절약전문기업의 투자 실적 53
    〈표1-10〉 전기차·수소차 보급 및 보조금 지급 실적 54
    〈표1-11〉 주요국의 기존 감축목표 및 기후정상회의 발표 내용 비교 58
    〈표1-12〉 넷제로의 유사개념과 온실가스 배출범위와의 관계 60
    〈표1-13〉 유럽 그린딜 주요 내용 67
    〈표1-14〉 ‘14.5계획’ 주요 내용 71
    〈표1-15〉 녹색성장전략 3가지 방향성 72
    〈표1-16〉 탄소가격제 73
    〈표1-17〉 EU, 탄소국경조정메커니즘(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CBAM) 74
    〈표1-18〉 EU 2023년/2030년 탄소국경제 74
    〈표1-19〉 주요국 자동차 온실가스 배출 기준 76
    〈표1-20〉 탄소중립을 선언한 세계 기업들 77
    〈표1-21〉 세계 주요 기업의 RE100 달성 목표 및 현황 78
    〈표1-22〉 완성차 기업들의 전기차 전환 목표 79
    〈표1-23〉 글로벌 분야별 CO2 배출 전망 85
    〈표1-24〉 탄소자원화의 주요 분야 92
    〈표1-25〉 탄소자원화 기술개발 단계 92
    〈표1-26〉 국내외 주요국 탄소중립 정책 추진 현황과 특징 107
    〈표1-27〉 EU의 탄소중립 목표 추이 110
    〈표1-28〉 EU 탄소중립 6대 주축분야 111
    〈표1-29〉 EU 그린딜 주요 실행정책 111
    〈표1-30〉 EU 그린딜 추진정책 내용 112
    〈표1-31〉 바이든 대통령 공약 추진 상황 113
    〈표1-32〉 바이든 행정부의 청정에너지 연구개발(R&D) 분야 114
    〈표1-33〉 독일 난방 & 소송부문 연도별 탄소 배출권 가격 115
    〈표1-34〉 교외 지역 자가용 출퇴근자에 대한 공제액 115
    〈표1-35〉 2030년 부문별 탄소 배출목표 및 주요 방안 116
    〈표1-36〉 최근 중국의 탄소배출 목표 변화 119
    〈표1-37〉 중국 정부의 친환경차 육성 방향 120
    〈표1-38〉 중국의 신에너지차 산업 발전을 위한 추진과제 121
    〈표1-39〉 일본 그린성장전략 14대 분야 주요 내용 123
    〈표1-40〉 우리 혁신역량ㆍ부문별 기술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지표ㆍ사례 126
    〈표1-41〉 주요과제 추진일정(안) 145
    〈표1-42〉 수송 수단별 에너지원 166
    〈표1-43〉 전기차·수소차 국내 연간 판매 목표 169
    〈표1-44〉 탄소중립 10대 핵심기술 전략 요약 194
    〈표1-45〉 전주기 함께달리기 R&D 개념 194
    〈표1-46〉 산업의 저탄소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대형 예타사업 내용(예시) 195
    〈표1-47〉 태양광 분야 2-Track의 기술혁신 프로젝트(예시) 195

    Ⅱ. 국내외 CCUS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235

    〈표2-1〉 이산화탄소 포집?전환?저장 기술의 정의 및 범위 248
    〈표2-2〉 CO2 CCUS 기술 범위 249
    〈표2-3〉 각국 정부/민간 CCUS 투자계획(2020년) 253
    〈표2-4〉 노르웨이 The Longship CCS Project 254
    〈표2-5〉 CCUS R&D 투자 현황 256
    〈표2-6〉 CCU R&D 연구개발 단계(‘11~’20 누적) 256
    〈표2-7〉 시멘트·철강업종 탄소 저감 장애 요인과 저감 기술 259
    〈표2-8〉 산업 내 제조공정별 이산화탄소 농도와 포집 비용 260
    〈표2-9〉 2019년 세계 주요국가 CCUS 기술 적용 통한 이산화탄소 저장규모 268
    〈표2-10〉 대규모 상업용 CCUS 프로젝트 현황(2020년 기준) 269
    〈표2-11〉 CCUS 설비 규모 및 활용분야 변화추이 270
    〈표2-12〉 다양한 CCUS 시장 전망 271
    〈표2-13〉 BCC Research, CCUS 기술분야별 글로벌 시장 전망 272
    〈표2-14〉 CO2 사용의 시장 잠재력 추정 276
    〈표2-15〉 주요 CCU 제품군 분류 278
    〈표2-16〉 CO2 유래 액체 연료 분야 주요 장벽 및 미래 시장 가능성 279
    〈표2-17〉 CO2 유래 메탄 분야 주요 장벽 및 미래 시장 가능성 280
    〈표2-18〉 CO2 유래 메탄올 분야 주요 장벽 및 미래 시장 가능성 281
    〈표2-19〉 CO2 유래 개미산 분야 주요 장벽 및 미래 시장 가능성 281
    〈표2-20〉 CO2 유래 합성가스 분야 주요 장벽 및 미래 시장 가능성 282
    〈표2-21〉 CO2 유래 폴리머 분야 주요 장벽 및 미래 시장 가능성 283
    〈표2-22〉 CO2 포함 콘크리트 분야 주요 장벽 및 미래 시장 가능성 283
    〈표2-23〉 탄산염 골재 분야 주요 장벽 및 미래 시장 가능성 284
    〈표2-24〉 CCUS 주요 키플레이어 현황 285
    〈표2-25〉 CCUS 기술 관련 기존 오일메이저 및 순수 CCUS 기술 기업 287
    〈표2-26〉 탄소포집 기술과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활용하는 스타트업 기업 288
    〈표2-27〉 포집방식별 특징 316
    〈표2-28〉 국내외 주요 저장조건 비교 317
    〈표2-29〉 이용기술별 특징 318
    〈표2-30〉 제품별 상용화 단계 비교 319
    〈표2-31〉 국내 주요 기술개발 동향 346
    〈표2-32〉 이산화탄소 광전환 연구 국내 동향 351
    〈표2-33〉 에너지원과 탄소원에 따른 미생물 분류표 356
    〈표2-34〉 해외 주요 기업의 광합성 미생물(미세조류) 기반 유용물질 생산 동향 357
    〈표2-35〉 미국 Electrofuels 관련 이산화탄소의 생물학적 전환기술 개발 연구과제 358
    〈표2-36〉 유럽내 전기생합성 미생물 기반 이산화탄소 전환 관련 대형 컨소시움 연구프로젝트 359
    〈표2-37〉 국내 CO2 생물학적 전환기술 관련 주요 연구그룹 및 과제수행 내용 360
    〈표2-38〉 제1차 녹색성장 5개년 계획 정책 방향 362
    〈표2-39〉 제1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상 기후변화대응 추진 전략 366
    〈표2-40〉 ‘21년 시행계획 수립 대상사업 368
    〈표2-41〉 사업별 구분 373
    〈표2-42〉 기술별 구분 374
    〈표2-43〉 연차별 예산현황(안) 375
    〈표2-44〉 연구비 1억 원 당 논문, 특허 및 기술이전 성과 376
    〈표2-45〉 계속과제‘21년 평가일정 377
    〈표2-46〉 신규과제‘21년 예산(안) 379
    〈표2-47〉 연차별 예산현황 및 투자계획(안) 383
    〈표2-48〉 연차별 예산현황 및 투자계획(안) 386
    〈표2-49〉 월별 일정 389
    〈표2-50〉 사업별 일정 390
    〈표2-51〉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안 392
    〈표2-52〉 NDC 상향안 394
    〈표2-53〉 ‘21년 투자 계획(안) 398
    〈표2-54〉 주요 추진 내용 398
    〈표2-55〉 K-CCUS 추진단 기능 및 역할 402
    〈표2-56〉 미국, 대규모 상업용 CCUS 프로젝트 현황(2020년 기준) 409
    〈표2-57〉 주요 CCS 프로젝트 현황 413
    〈표2-58〉 중국의 CCUS 시범공정 기본 현황 430
    〈표2-59〉 일본 에너지·환경 이노베이션 전략의 중점 기술 436
    〈표2-60〉 호주 CCS 관련 프로그램 441
    〈표2-61〉 호주의 주요 CCS 프로젝트 443

    Ⅲ. CCUS 관련 기술개발 동향과 연구과제 447

    〈표3-1〉 탄소자원화 기술 체계 447
    〈표3-2〉 탄소전환 플래그십 추진 단계 448
    〈표3-3〉 탄소광물 플래그십 추진 단계 449
    〈표3-4〉 주요국 CCU 실증·상용화 사례 463
    〈표3-5〉 중점기술 선정 기준 465
    〈표3-6〉 CCU 세부분야별 중점 기술 467
    〈표3-7〉 CCU 세부분야별 기술혁신 마일스톤 469
    〈표3-8〉 CO2 포집 분야 중점 기술 471
    〈표3-9〉 중점기술 마일스톤 472
    〈표3-10〉 ‘30년 상용화 화학제품 후보군 473
    〈표3-11〉 CO2 화학전환 분야 중점 기술 475
    〈표3-12〉 중점기술 마일스톤 476
    〈표3-13〉 CO2 생물전환 분야 중점 기술 478
    〈표3-14〉 중점기술 마일스톤 479
    〈표3-15〉 ‘30년 상용화 무기탄산염 제품 후보군 480
    〈표3-16〉 CO2 광물탄산화 분야 중점 기술 481
    〈표3-17〉 중점기술 마일스톤 481
    〈표3-18〉 기타탄소 활용 분야 중점 기술 483
    〈표3-19〉 중점기술 마일스톤 483
    〈표3-20〉 발전?산업별 CO2 포집 실증 추진전략 485
    〈표3-21〉 테스트베드 및 기술지원 플랫폼 구축·활용 예시 486
    〈표3-22〉 부처별 역할 분담(안) 489
    〈표3-23〉 중점과제 및 기술개발 목표 494
    〈표3-24〉 중점과제 및 기술개발 목표 495
    〈표3-25〉 중점과제 및 기술개발 목표 496
    〈표3-26〉 중점과제 및 기술개발 목표 497
    〈표3-27〉 중점과제 및 기술개발 목표 498
    〈표3-28〉 중점과제 및 기술개발 목표 500
    〈표3-29〉 중점과제 및 기술개발 목표 501
    〈표3-30〉 중점과제 및 기술개발 목표 502
    〈표3-31〉 중점과제 및 기술개발 목표 503
    〈표3-32〉 중점과제 및 기술개발 목표 505
    〈표3-33〉 중점과제 및 기술개발 목표 506
    〈표3-34〉 중점과제 및 기술개발 목표 507
    〈표3-35〉 중점과제 및 기술개발 목표 508
    〈표3-36〉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의 전환 기술 관련 연도별 출원 현황 518
    〈표3-37〉 대표적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의 전환 기술 520

    그림 목차
    Ⅰ. 기후변화대응, 탄소중립과 탄소자원화 실태와 전망 27

    〈그림1-1〉 2019년 전 지구 기온 편차 분포(평년: 1981∼2010) 28
    〈그림1-2〉 2019년 11월 전 지구 해수면온도 평년편차분포도(ERSSTv5) 28
    〈그림1-3〉 2019년 9월(왼쪽) 및 10월(오른쪽) 평년대비 북극 해빙면적 시계열 29
    〈그림1-4〉 1967∼2019년 10월 북반구 및 유라시아 대륙 눈덮임 면적 시계열 29
    〈그림1-5〉 2019년 10월 눈덮임 평년(1970년 8월~2000년 8월)편차 30
    〈그림1-6〉 국내 이상기후 현상 35
    〈그림1-7〉 2019년 국내 이상기후 발생 분포도 36
    〈그림1-8〉 평년(1981∼2010년) 대비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RCP8.5 시나리오 기준) 37
    〈그림1-9〉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및 흡수량 추이(1990∼2017년) 41
    〈그림1-10〉 국내총생산(GDP) 대비 온실가스 총배출량(1990∼2017년) 43
    〈그림1-11〉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45
    〈그림1-12〉 배출권 가격 변동 추이 50
    〈그림1-13〉 국내 재생에너지 현황 52
    〈그림1-14〉 제로에너지 건축 개념도 55
    〈그림1-15〉 주요국의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56
    〈그림1-16〉 분야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57
    〈그림1-17〉 탄소중립과 기후중립에 대한 글로벌 타임라인 61
    〈그림1-18〉 탄소중립과 기후중립에 대한 글로벌 타임라인 62
    〈그림1-19〉 독일의 2010년과 2050년의 분야별 온실가스 감축량 및 감축율 63
    〈그림1-20〉 프랑스의 2015년과 2050년의 분야별 온실가스 감축량 및 감축율 64
    〈그림1-21〉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는 10가지 주요 솔루션 65
    〈그림1-22〉 세계 137개국 탄소중립 선언 66
    〈그림1-23〉 1990∼2050년 지속된 경제성장과 기후중립을 위한 EU의 경로 68
    〈그림1-24〉 ‘청정에너지·인프라 계획’ 주요 내용 69
    〈그림1-25〉 기후혁신 실무그룹의 핵심 강령 70
    〈그림1-26〉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녹색성장전략 72
    〈그림1-27〉 국가별 석탄발전 퇴출 목표 75
    〈그림1-28〉 국가별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 금지 목표 76
    〈그림1-29〉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의 탄소중립 목표 79
    〈그림1-30〉 태양광 및 풍력 누적 설치 용량 80
    〈그림1-31〉 전 세계 연료별 수소 생산량 및 부문별 수소 사용 비율 80
    〈그림1-32〉 전기승용차 및 수소전기승용차 판매량 81
    〈그림1-33〉 세계 건물분야 투자 전망 81
    〈그림1-34〉 세계 CCUS 시장 전망 82
    〈그림1-35〉 원별 설치용량 및 발전량 전망 82
    〈그림1-36〉 2050 Net Zero 달성을 위한 주요 마일스톤 84
    〈그림1-37〉 주요 분야별 전기화 전망 85
    〈그림1-38〉 글로벌 전원믹스 전망(발전량 기준) 86
    〈그림1-39〉 글로벌 전력망 투자 규모 및 요인 87
    〈그림1-40〉 화석연료 사용/CO2 배출량 추이 및 전망 88
    〈그림1-41〉 CCUS 기술의 발전 단계별 정책 지원 90
    〈그림1-42〉 탄소자원화 기술 개요 91
    〈그림1-43〉 ‘C1 가스 리파이너리’ 기술 개요 93
    〈그림1-44〉 태양광 이용 화합물 제조용 광-바이오 공장 개념도 94
    〈그림1-45〉 바이오리파이너리 개념도 95
    〈그림1-46〉 e-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 개요 97
    〈그림1-47〉 CCU 기술 개념도 97
    〈그림1-48〉 우리나라 탄소자원화 실증 프로젝트 104
    〈그림1-49〉 연료연소로 인한 전세계 CO2 배출량 부문별 비중 106
    〈그림1-50〉 독일 석탄 화력발전 감축 계획 117
    〈그림1-51〉 코로나 19 영향에 따른 2020년 탄소배출량 분석 118
    〈그림1-52〉 총발전량 대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추이(2018∼2020) 119
    〈그림1-53〉 일본 온실효과가스 배출량 추이 122
    〈그림1-54〉 2050년 탄소제로 실현을 위한 그린성장전략 124
    〈그림1-55〉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추진전략 127
    〈그림1-56〉 탄소중립 민관합동 이행체제(案) 143
    〈그림1-57〉 「2050 탄소중립」의 미래상 146
    〈그림1-58〉 전원별 발전비중 추세 148
    〈그림1-59〉 용도별 전력 수요 149
    〈그림1-60〉 전력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추세 149
    〈그림1-61〉 재생에너지 투자비 전망 151
    〈그림1-62〉 수소를 활용한 연료전지 보급 계획 152
    〈그림1-63〉 새로운 에너지 공급 시스템 비전 154
    〈그림1-64〉 스마트그리드 개념도 155
    〈그림1-65〉 경제구조 변화 156
    〈그림1-66〉 제조업 업종별 부가가치 변화 157
    〈그림1-67〉 산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158
    〈그림1-68〉 산업 부문 에너지원별 사용 추세 158
    〈그림1-69〉 산업 부문 설비별 에너지 소비량 159
    〈그림1-70〉 수소 활용 CO2 저감 제철기술(탄소 연·원료 기반 수소환원제철) 160
    〈그림1-71〉 CCU 미래 기술 161
    〈그림1-72〉 스마트공장 및 스마트 산단 162
    〈그림1-73〉 수송 부문 연료 사용 추세 166
    〈그림1-74〉 수송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167
    〈그림1-75〉 친환경차 2030 보급 목표 169
    〈그림1-76〉 건축물 현황 173
    〈그림1-77〉 건물 에너지 사용량 변화 174
    〈그림1-78〉 건물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175
    〈그림1-79〉 주거용 건물 단위면적당 난방 에너지사용량 176
    〈그림1-80〉 건물 재생에너지 활용 예시 177
    〈그림1-81〉 미래 스마트시티 개념도 179
    〈그림1-82〉 폐기물 발생 및 처리방법 현황 180
    〈그림1-83〉 폐기물 처리 분야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181
    〈그림1-84〉 농축수산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분야별) 184
    〈그림1-85〉 농업부문 스마트 기술 185
    〈그림1-86〉 양식부문 스마트 기술(스마트 양식) 186
    〈그림1-87〉 에너지 절감형 친환경 어선 개발 개념도 187
    〈그림1-88〉 우리나라 산림의 이산화탄소 흡수량 추이 189
    〈그림1-89〉 우리나라 산림의 영급별 면적비율과 이산화탄소 흡수 전망 추이 190
    〈그림1-90〉 탄소중립 10대 핵심기술 도출 방향 194
    〈그림1-91〉 2050 탄소중립 미래상 197
    〈그림1-92〉 탄소중립 기술혁신 10대 핵심기술 정의 198

    Ⅱ. 국내외 CCUS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235

    〈그림2-1〉 기후변화대응 기술의 감축분야 기술분류체계 236
    〈그림2-2〉 포집된 CO2의 활용 경로 238
    〈그림2-3〉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성도 241
    〈그림2-4〉 수소에너지시스템 242
    〈그림2-5〉 태양열 시스템 구성 243
    〈그림2-6〉 CCUS 기술 개념도 244
    〈그림2-7〉 CCUS(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 과정 245
    〈그림2-8〉 이산화탄소 포집?전환?저장 기술의 모식도 245
    〈그림2-9〉 CCS 기술 정의 개념도 246
    〈그림2-10〉 CCS(Carbon Capture & Storage) 246
    〈그림2-11〉 CCU(Carbon Capture & Utilization) 247
    〈그림2-12〉 원천별 글로벌 대규모 탄소 포집시설 capacity 248
    〈그림2-13〉 CCUS value chain과 기술별 개발 진행 현황 249
    〈그림2-14〉 산업 분야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전망 252
    〈그림2-15〉 SDS* 상 Application별, 섹터별 및 원천별 포집된 이산화탄소 활용 257
    〈그림2-16〉 IEA의 중공업 업종 기술별 탄소 감축기여율 추정 258
    〈그림2-17〉 시멘트·철강업종 생산기술별 생산비용범위 259
    〈그림2-18〉 CCUS 정책 체제 하에서의 Gateway 정책 260
    〈그림2-19〉 기술별·지역별 CCS 투자현황 및 전망 261
    〈그림2-20〉 CCUS 도입 설비 발전원 발전량 전망 및 글로벌 석탄발전 발전량 변화 262
    〈그림2-21〉 온실가스 목표 달성을 고려한 설비용량 비중 및 글로벌 석탄발전 운영 기간 263
    〈그림2-22〉 지역별 유연성 자원 현황(18년 기준) 263
    〈그림2-23〉 CCS 도입시 시스템 비용 변화 및 CCS 도입시 탄소 집약도 및 한계저감비용 264
    〈그림2-24〉 CCS 연관 인프라 설비 보유 지역 및 지역별 CCS 개발 여건 비교 265
    〈그림2-25〉 탄소포집·활용·저장기술(CCUS) 프로젝트 분포 주요지역 267
    〈그림2-26〉 글로벌 CCUS 규모 전망 270
    〈그림2-27〉 전세계 탄소포집 연관 시장 전망 272
    〈그림2-28〉 2020~2025년 세계 CCUS 시장규모 273
    〈그림2-29〉 CCUS 기술 수요 지속적으로 확대 전망 273
    〈그림2-30〉 CCU 미래 시장 잠재력의 핵심 고려 요소 274
    〈그림2-31〉 CCU 미래 시장의 고려 요소 277
    〈그림2-32〉 이산화탄소 전환 제품 시장 잠재력 및 수익 전망 277
    〈그림2-33〉 ‘EU REALISE’의 CCS 프로젝트 296
    〈그림2-34〉 여수1공장 CCUS 실증설비 제어실(왼쪽)과 전처리, 분리 설비(오른쪽) 301
    〈그림2-35〉 한국석유공사 CCS사업 개념도 312
    〈그림2-36〉 지역별 CCS 지리조건 및 저장잠재량 317
    〈그림2-37〉 연소 후 포집(Post-combustion CO2 capture) 320
    〈그림2-38〉 연소 전 포집(Pre-combustion CO2 capture) 321
    〈그림2-39〉 순산소 연소(Oxy-fuel combustion) 321
    〈그림2-40〉 발전소 적용 건식 포집기술의 적용 위치 323
    〈그림2-41〉 석탄가스화복합발전시스템(IGCC) 구성도 324
    〈그림2-42〉 이산화탄소 분리막 포집 공정의 비용을 구성하는 여러 인자들 326
    〈그림2-43〉 공기 중 포집기술 관련 특허건수 및 나라별 비율 328
    〈그림2-44〉 CO2 EOR 모식도 329
    〈그림2-45〉 심부 지하지층에서의 CO2 저장 330
    〈그림2-46〉 심도별 해양저장 방식의 차이 331
    〈그림2-47〉 CO2 저장소 탐사를 위한 지구물리 탐사 및 시추조사 개념도 332
    〈그림2-48〉 CO2 저장소 선정을 위한 특성화 및 지질모델링 방법론 332
    〈그림2-49〉 CO2 주입 설비 플랜트 모식도 335
    〈그림2-50〉 FPSO 형태의 CO2 수송 및 주입을 위한 플랜트 특수선 336
    〈그림2-51〉 CO2 주입공 시추완결 기술 모식도 337
    〈그림2-52〉 해저면 OBS 모니터링 기술 개념도 339
    〈그림2-53〉 안전사고 발생 시 사고수습 계획도 341
    〈그림2-54〉 이산화탄소의 연료 및 화학물질로의 주요 전환 경로 342
    〈그림2-55〉 CO2를 이용한 화학제품 다운스트림 344
    〈그림2-56〉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전환 기술 개념도 347
    〈그림2-57〉 CO2가 용해된 전해질과 빛을 흡수하는 반도체 광촉매 계면에서의 환원반응 2가지 349
    〈그림2-58〉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CO2 전환기술 352
    〈그림2-59〉 자연계 광합성에서 진행되는 CO2 전환 353
    〈그림2-60〉 물을 전자주개로 활용한 이산화탄소 전환기술 353
    〈그림2-61〉 탄소 고정 경로 다양성에 따른 바이오소재 생산 플랫폼 미생물의 종류 356
    〈그림2-62〉 추진체계(안) 397
    〈그림2-63〉 K-CCUS 추진단 조직도 403
    〈그림2-64〉 미국의 CO2 전환기술 분야 개념도 406
    〈그림2-65〉 미국 탄소자원화 기술관련 정책 및 R&D 담당조직 구성 406
    〈그림2-66〉 미국 주요 CCUS 시설별 적용 정책·규제 407
    〈그림2-67〉 글로벌 탄소 포집저장기술 준비 지수 408
    〈그림2-68〉 캐나다, 산업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변화 추이 410
    〈그림2-69〉 IEA가 제시하는 CCUS 기술 적용 산업 411
    〈그림2-70〉 시나리오를 통한 글로벌 저탄소 에너지 투자 비용(2030/2050) 414
    〈그림2-71〉 CCS and CCUS Engineering Projects Worldwide 415
    〈그림2-72〉 노르웨이 Sleipner 및 Snohvit 이산화탄소 저장 프로젝트(Statoil website) 415
    〈그림2-73〉 영국 CCUS 프로젝트 세부 사항 420
    〈그림2-74〉 네덜란드의 탄소 포집, 활용 및 저장(CCUS) 프로젝트 개요 423
    〈그림2-75〉 Porthos 프로젝트 위치 424
    〈그림2-76〉 북해 Athos 프로젝트 424
    〈그림2-77〉 2DS(2 Degree Scenario) 내 중국 시나리오 426
    〈그림2-78〉 탄소중립 달성 위해 배출감소 및 기술증가 전망 427
    〈그림2-79〉 ‘14.5’및‘15.5’석탄-석유 소비량 감소 427
    〈그림2-80〉 탄소포집기술 등 관련 기술 수요 확대 전망 427
    〈그림2-81〉 중국의 연간 CO2 집약도 및 배출량 실적 및 전망 428
    〈그림2-82〉 CCUS 기술 발전 총체 로드맵 429
    〈그림2-83〉 Sinopec, CCUS 프로젝트인 Sinopec Qilu-Shengli Oilfield CCUS 개시 433
    〈그림2-84〉 일본 CCS 비전 및 추진계획 437
    〈그림2-85〉 Tomakomai CCS Demonstration Project 438
    〈그림2-86〉 Major CCS Projects in Australia 와 Otway CCS Facility, Australia 443


    Ⅲ. CCUS 관련 기술개발 동향과 연구과제 447

    〈그림3-1〉 광양-여수 실증사업(안) 449
    〈그림3-2〉 강원-충청 실증사업(안) 450
    〈그림3-3〉 전략 플랫폼 주요 기능 450
    〈그림3-4〉 국내 CO2 포집 기술개발 성과 459
    〈그림3-5〉 기술별·분야별 R&D 추진 전략 466
    〈그림3-6〉 CO2 포집 기술 개념도 470
    〈그림3-7〉 CO2 화학전환 기술 개념도 473
    〈그림3-8〉 CO2 생물전환 기술 개념도 477
    〈그림3-9〉 CO2 광물탄산화 기술 개념도 479
    〈그림3-10〉 기타탄소 활용 기술 개념도 482
    〈그림3-11〉 CCU 기술 기반 탄소순환 미래사회 491
    〈그림3-12〉 CCUS 기술개발 전략 492
    〈그림3-13〉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연간 특허 출원 건수 509
    〈그림3-14〉 주요 국가별 연간 특허 출원 건수 510
    〈그림3-15〉 CCUS 기술의 주요국 특허 출원 동향 511
    〈그림3-16〉 주요 국가별/시장별 출원인 동향 512
    〈그림3-17〉 주요 국가의 특허 등록률 513
    〈그림3-18〉 CCUS 특허 활동이 활발한 기업 및 연구기관 순위 514
    〈그림3-19〉 구간별 주요 출원인 현황 515
    〈그림3-20〉 CCUS 기술분류별 특허출원 점유율 516
    〈그림3-21〉 CCUS 기술분류별 특허동향 517
    〈그림3-22〉 기술별 출원 현황 519
    〈그림3-23〉 내외국인 출원 현황 519
    〈그림3-24〉 내외국인별 출원 현황 519
    〈그림3-25〉 기술 개요도 520

책 속으로

[발간사]

국제적인 기후변화 대응의 일환으로 진행되어오고 있는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더욱 강화되면서 탄소중립에서 나아가 탈탄소를 향한 넷제로(net-zero) 정책으로 이행되면서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기술이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핵심기술로 부상하고 있으며,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기술개발과 시설투자, 실증이 확대되면서 새로운 기후 관련 유망산업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는 이산화탄소 포집, 활용, 저장을 의미하며 화석연료의 사용 등으로 인해 대량의 이산화탄소(CO2)가 생산되는 근원지에서 그 이산화탄소(CO2)가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포집하여, 이동/ 저장할 뿐만 아니라 자원으로 활용하는 기술을 통합적으로 뜻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인더스트리아크는 글로벌 CCUS 시장규모가 2021년부터 향후 5년간 연평균 29.2% 성장해 2026년 253억 달러(약 29조 7,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분석기관은 공통적으로 CCUS 관련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최근 2070년 전 세계적인 탄소중립에 이르는 과정에서 CCUS 기술 기여도를 총 감축량의 15% 수준인 연간 100억t으로 제시하였으며, 이와 함께 CCUS 기술 없이 인류가 추진하고 있는 기후변화 대응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미국, EU, 중국 등 주요국들은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가교기술(Bridge technology)로서 CCUS 기술 개발을 꾸준히 추진 중에 있다. 특히 미국은 CCUS 기술을 국가전략기술로 채택, 자국 CO2 감축뿐 아니라 기술선점을 통한 신시장 확보를 위해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EU와 중국 등에서도 시설 확대 계획을 앞 다투어 발표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CCUS 추진현황 및 계획’을 발표하고, CCUS를 新산업으로 육성하여 초기 단계에 있는 전 세계 기후위기대응 新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다부처 사업 등을 통해 지원을 본격화하고 있다.

환경부는 탄소중립을 위해 화석연료 발전 중심의 전력공급 체계를 재생에너지와 수소 중심으로 전환하고 CCUS 기술을 적극 활용해 전력부문의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산업부는 CCUS 확산의 컨트롤타워이자 신산업화 역할을 할 민관합동 K-CCUS추진단을 2021년 발족한 바 있으며, 이에 국내 주요 기업들은 CCUS 각 분야에서 기존 사업모델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찾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당사에서는 국내와 해외 주요국의 기후변화와 온실가스 대응 동향과 전략을 조사하고, 탄소중립 정책 수립과 이행계획을 정리하였으며, 탄소자원화 기술과 특히 CCUS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과 설비투자 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 분석하여 본서를 발간하게 되었다. 모쪼록 CCUS 관련산업에 관심을 갖고 계신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2021년 11월

이슈퀘스트 산업조사실

기본정보

상품정보
ISBN 9788998366544
발행(출시)일자 2021년 11월 09일
쪽수 560쪽
크기
210 * 297 mm
총권수 1권

Klover

Klover 리뷰 안내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과 10자 이상의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리뷰 종류별로 구매한 아이디당 한 상품에 최초 1회 작성 건들에 대해서만 제공됩니다.
판매가 1,000원 미만 도서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한달 후 리뷰
구매 후 30일~ 120일 이내에 작성된 두 번째 구매리뷰에 대해 한 달 후 리뷰로 인지하고 e교환권 100원을 추가 제공합니다.

* 강연, 공연, 여행, 동영상, 사은품, 기프트카드 상품은 지급 제외
2.운영 원칙 안내
Klover 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리뷰는 1인이 중복으로 작성하실 수는 있지만, 평점계산은 가장 최근에 남긴 1건의 리뷰만 반영됩니다.
3.신고하기
다른 고객이 작성리뷰에 대해 불쾌함을 느끼는 경우 신고를 할 수 있으며, 신고 자가 일정수준 이상 누적되면 작성하신 리뷰가 노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벤트
TOP

저자 모두보기

매장별 재고 및 도서위치

할인쿠폰 다운로드

  • 쿠폰은 주문결제화면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다운로드한 쿠폰은 마이 > 나의 통장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도서정가제 적용 대상 상품에 대해서는 정가의 10%까지 쿠폰 할인이 가능합니다.
  • 도서정가제 적용 대상 상품에 10% 할인이 되었다면, 해당 상품에는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적립예정포인트 안내

  • 통합포인트 안내

    • 통합포인트는 교보문고(인터넷, 매장), 핫트랙스(인터넷, 매장), 모바일 교보문고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상품 주문 시, 해당 상품의 적립률에 따라 적립 예정 포인트가 자동 합산되고 주문하신 상품이 발송완료 된 후에 자동으로 적립됩니다.
    • 단, 쿠폰 및 마일리지, 통합포인트, e교환권 사용 시 적립 예정 통합포인트가 변동될 수 있으며 주문취소나 반품시에는 적립된 통합포인트가 다시 차감됩니다.
  • 통합포인트 적립 안내

    • 통합포인트는 도서정가제 범위 내에서 적용됩니다.
    • 추가적립 및 회원 혜택은 도서정가제 대상상품(국내도서, eBook등)으로만 주문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 기본적립) 상품별 적립금액

    • 온라인교보문고에서 상품 구매시 상품의 적립률에 따라 적립됩니다.
    • 단 도서정가제 적용 대상인 국내도서,eBook은 15%내에서 할인율을 제외한 금액내로 적립됩니다.
  • 추가적립) 5만원 이상 구매시 통합포인트 2천원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시 통합포인트 2천원 적립됩니다.
    • 도서정가제 예외상품(외서,음반,DVD,잡지(일부),기프트) 2천원 이상 포함시 적립 가능합니다.
    • 주문하신 상품이 전체 품절인 경우 적립되지 않습니다.
  • 회원혜택) 3만원이상 구매시 회원등급별 2~4% 추가적립

    • 회원등급이 플래티넘, 골드, 실버 등급의 경우 추가적립 됩니다.
    • 추가적립은 실결제액 기준(쿠폰 및 마일리지, 통합포인트, e교환권 사용액 제외) 3만원 이상일 경우 적립됩니다.
    • 주문 후 취소,반품분의 통합포인트는 단품별로 회수되며, 반품으로 인해 결제잔액이 3만원 미만으로 변경될 경우 추가 통합포인트는 전액 회수될 수 있습니다.

제휴 포인트 안내

제휴 포인트 사용

  • OK CASHBAG 10원 단위사용 (사용금액 제한없음)
  • GS&POINT 최대 10만 원 사용
더보기

구매방법 별 배송안내

지역별 도착 예정일

수도권 지역

배송 일정 안내 테이블로 결제 완료 시간, 도착예정일 결제 완료 시간 컬럼의 하위로 평일 0시 ~ 12시 토요일 0시 ~ 11시 평일 12시 ~ 22시 평일 12시 ~ 24시 토요일 11시 ~ 21시 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결제 완료 시간 도착예정일
평일 0시 ~ 12시

토요일 0시 ~ 11시
당일배송 오늘

당일배송 오늘
평일 12시 ~ 22시

평일 12시 ~ 24시

토요일 11시 ~ 21시
새벽배송 내일 07시 이전

내일

일요배송 일요일

수도권 외 (천안, 대전, 울산, 부산, 대구, 창원)

배송 일정 안내 테이블로 결제 완료 시간, 도착예정일 결제 완료 시간 컬럼의 하위로 월~토 0시 ~ 11시 30분 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결제 완료 시간 도착예정일
월~토 0시 ~ 11시 30분
당일배송 오늘

배송 유의사항

  • 새벽배송과 일요배송은 수도권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합니다. 상품 상세페이지에서 도착 예정일을 확인해 주세요.
  • 수도권 외 지역에서 선물포장하기 또는 사은품을 포함하여 주문할 경우 당일배송 불가합니다.
  • 무통장입금 주문 후 당일 배송 가능 시간 이후 입금된 경우 당일 배송 불가합니다.
  • 새벽배송의 경우 공동 현관 출입 번호가 누락 되었거나 틀릴 경우 요청하신 방법으로 출입이 어려워, 부득이하게 공동 현관 또는 경비실 앞에 배송 될 수 있습니다.
  • 학교, 관공서, 회사 등 출입 제한 시간이 있는 곳은 당일배송, 새벽배송, 일요배송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공휴일과 겹친 토요일, 일요일은 일요일 배송에서 제외됩니다. 일요배송은 한정 수량에 한해 제공됩니다. 수량 초과 시 일반배송으로 발송되니 주문 시 도착 예정일을 확인해 주세요.
  • 주문 후 배송지 변경 시 변경된 배송지에 따라 익일 배송될 수 있습니다.
  • 수도권 외 지역의 경우 효율적인 배송을 위해 각 지역 매장에서 택배를 발송하므로, 주문 시의 부록과 상이할 수 있습니다.
  • 각 지역 매장에서 재고 부족 시 재고 확보를 위해 당일 배송이 불가할 수 있습니다.
  • 기상악화로 인한 도로 사정으로 일부 지역의 배송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 출고 예정일이 5일 이상인 상품의 경우(결제일로부터 7일 동안 미입고), 출판사 / 유통사 사정으로 품/절판 되어 구입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SMS, 메일로 알려드립니다.
  • 분철상품 주문 시 분철 작업으로 인해 기존 도착 예정일에 2일 정도 추가되며, 당일 배송, 해외 배송이 불가합니다.
  • 해외주문도서는 해외 거래처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습니다.
  • 스페셜오더 도서나 일서 해외 주문 도서와 함께 주문 시 배송일이 이에 맞추어 지연되오니, 이점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바로드림존에서 받기

  1. STEP 01
    매장 선택 후 바로드림 주문
  2. STEP 02
    준비완료 알림 시 매장 방문하기
  3. STEP 03
    바로드림존에서 주문상품 받기
  • 바로드림은 전국 교보문고 매장 및 교내서점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 잡지 및 일부 도서는 바로드림 이용이 불가합니다.
  • 각 매장 운영시간에 따라 바로드림 이용 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수령 안내

  • 안내되는 재고수량은 서비스 운영 목적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해당 매장에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바로드림 주문 후 재고가 실시간 변동되어, 수령 예상 시간에 수령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취소/교환/반품 안내

  • 주문 후 7일간 찾아가지 않으시면, 자동으로 결제가 취소됩니다.
  • 취소된 금액은 결제수단의 승인취소 및 예치금으로 전환됩니다.
  • 교환/반품은 수령하신 매장에서만 가능합니다.

사은품 관련 안내

  • 바로드림 서비스는 일부 1+1 도서, 경품, 사은품 등이 포함 되지 않습니다.

음반/DVD 바로드림시 유의사항

  • 음반/DVD 상품은 바로드림 주문 후 수령점 변경이 불가합니다. 주문 전 수령점을 꼭 확인해 주세요.
  • 사은품(포스터,엽서 등)은 증정되지 않습니다.
  • 커버이미지 랜덤발매 음반은 버전 선택이 불가합니다.
  • 광화문점,강남점,대구점,영등포점,잠실점은 [직접 찾아 바로드림존 가기], [바로드림존에서 받기] 로 주문시 음반 코너에서 수령확인이 가능합니다
  • 선물 받는 분의 휴대폰번호만 입력하신 후 결제하시면 받는 분 휴대폰으로 선물번호가 전달됩니다.
  • 문자를 받은 분께서는 마이 > 주문관리 > 모바일 선물내역 화면에서 선물번호와 배송지 정보를 입력하시면 선물주문이 완료되어 상품준비 및 배송이 진행됩니다.
  • 선물하기 결제하신 후 14일까지 받는 분이 선물번호를 등록하지 않으실 경우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 또한 배송 전 상품이 품절 / 절판 될 경우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바로드림 서비스 안내

  1. STEP 01
    매장 선택 후 바로드림 주문
  2. STEP 02
    준비완료 알림 시 매장 방문하기
  3. STEP 03
    바로드림존에서 주문상품 받기
  • 바로드림은 전국 교보문고 매장 및 교내서점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 잡지 및 일부 도서는 바로드림 이용이 불가합니다.
  • 각 매장 운영시간에 따라 바로드림 이용 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수령 안내

  • 안내되는 재고수량은 서비스 운영 목적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해당 매장에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바로드림 주문 후 재고가 실시간 변동되어, 수령 예상시간에 수령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취소/교환/반품 안내

  • 주문 후 7일간 찾아가지 않으시면, 자동으로 결제가 취소됩니다.
  • 취소된 금액은 결제수단의 승인취소 및 예치금으로 전환됩니다.
  • 교환/반품은 수령하신 매장에서만 가능합니다.

사은품 관련 안내

  • 바로드림 서비스는 일부 1+1 도서, 경품, 사은품 등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음반/DVD 바로드림시 유의사항

  • 음반/DVD 상품은 바로드림 주문 후 수령점 변경이 불가합니다. 주문 전 수령점을 꼭 확인해주세요.
  • 사은품(포스터,엽서 등)은 증정되지 않습니다.
  • 커버이미지 랜덤발매 음반은 버전 선택이 불가합니다.
  • 광화문점,강남점,대구점,영등포점,잠실점은 [직접 찾아 바로드림존 가기], [바로드림존에서 받기] 로 주문시 음반코너에서 수령확인이 가능합니다.
  1. STEP 01
    픽업박스에서 찾기 주문
  2. STEP 02
    도서준비완료 후 휴대폰으로 인증번호 전송
  3. STEP 03
    매장 방문하여 픽업박스에서 인증번호 입력 후 도서 픽업
  • 바로드림은 전국 교보문고 매장 및 교내서점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 잡지 및 일부 도서는 바로드림 이용이 불가합니다.
  • 각 매장 운영시간에 따라 바로드림 이용 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수령 안내

  • 안내되는 재고수량은 서비스 운영 목적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해당 매장에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바로드림 주문 후 재고가 실시간 변동되어, 수령 예상시간에 수령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취소/교환/반품 안내

  • 주문 후 7일간 찾아가지 않으시면, 자동으로 결제가 취소됩니다.
  • 취소된 금액은 결제수단의 승인취소 및 예치금으로 전환됩니다.
  • 교환/반품은 수령하신 매장에서만 가능합니다.

사은품 관련 안내

  • 바로드림 서비스는 일부 1+1 도서, 경품, 사은품 등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음반/DVD 바로드림시 유의사항

  • 음반/DVD 상품은 바로드림 주문 후 수령점 변경이 불가합니다. 주문 전 수령점을 꼭 확인해주세요.
  • 사은품(포스터,엽서 등)은 증정되지 않습니다.
  • 커버이미지 랜덤발매 음반은 버전 선택이 불가합니다.
  • 광화문점,강남점,대구점,영등포점,잠실점은 [직접 찾아 바로드림존 가기], [바로드림존에서 받기] 로 주문시 음반코너에서 수령확인이 가능합니다.

도서 소득공제 안내

  • 도서 소득공제란?

    • 2018년 7월 1일 부터 근로소득자가 신용카드 등으로 도서구입 및 공연을 관람하기 위해 사용한 금액이 추가 공제됩니다. (추가 공제한도 100만원까지 인정)
      • 총 급여 7,000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 중 신용카드, 직불카드 등 사용액이 총급여의 25%가 넘는 사람에게 적용
      • 현재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의 소득 공제한도는 300만 원이고 신용카드사용액의 공제율은 15%이지만, 도서·공연 사용분은 추가로 100만 원의 소득 공제한도가 인정되고 공제율은 30%로 적용
      • 시행시기 이후 도서·공연 사용액에 대해서는 “2018년 귀속 근로소득 연말 정산”시기(19.1.15~)에 국세청 홈택스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 제공
  • 도서 소득공제 대상

    • 도서(내서,외서,해외주문도서), eBook(구매)
    • 도서 소득공제 대상 상품에 수반되는 국내 배송비 (해외 배송비 제외)
      • 제외상품 : 잡지 등 정기 간행물, 음반, DVD, 기프트, eBook(대여,학술논문), 사은품, 선물포장, 책 그리고 꽃
      • 상품정보의 “소득공제” 표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도서 소득공제 가능 결제수단

    • 카드결제 : 신용카드(개인카드에 한함)
    • 현금결제 : 예치금, 교보e캐시(충전에한함), 해피머니상품권, 컬쳐캐쉬, 기프트 카드, 실시간계좌이체, 온라인입금
    • 간편결제 : 교보페이, 네이버페이, 삼성페이, 카카오페이, PAYCO, 토스, CHAI
      • 현금결제는 현금영수증을 개인소득공제용으로 신청 시에만 도서 소득공제 됩니다.
      • 교보e캐시 도서 소득공제 금액은 교보eBook > e캐시 > 충전/사용내역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SKpay, 휴대폰 결제, 교보캐시는 도서 소득공제 불가
  • 부분 취소 안내

    • 대상상품+제외상품을 주문하여 신용카드 "2회 결제하기"를 선택 한 경우, 부분취소/반품 시 예치금으로 환원됩니다.

      신용카드 결제 후 예치금으로 환원 된 경우 승인취소 되지 않습니다.

  • 도서 소득공제 불가 안내

    • 법인카드로 결제 한 경우
    • 현금영수증을 사업자증빙용으로 신청 한 경우
    • 분철신청시 발생되는 분철비용

알림 신청

아래의 알림 신청 시 원하시는 소식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알림신청 취소는 마이룸 > 알림신청내역에서 가능합니다.

탄소중립과 넷제로(Net-Zero)를 향한 글로벌 CCUS 기술개발 동향과 사업화 전략
신고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판형알림

  • A3 [297×420mm]
  • A4 [210×297mm]
  • A5 [148×210mm]
  • A6 [105×148mm]
  • B4 [257×364mm]
  • B5 [182×257mm]
  • B6 [128×182mm]
  • 8C [8절]
  • 기타 [가로×세로]
EBS X 교보문고 고객님을 위한 5,000원 열공 혜택!
자세히 보기

해외주문양서 배송지연 안내

현재 미국 현지 눈폭풍으로 인해
해외 거래처 출고가 지연되고 있습니다.

해외주문양서 주문 시
예상 출고일보다 배송기간이 더 소요될 수 있으니
고객님의 너그러운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